항공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항공 기상 관련 용어 해설 서비스 입니다. 검색창에 궁금한 용어를 입력하시거나, 한글 및 알파벳별 색인 검색을 할수 있습니다.
용어 | 해설 |
---|---|
AIRMET 정보 (AIRMET information) | 저고도 항공기 운항의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그리고 관할 비행정보구역 또는 그 하부구역(sub-area) 내에서 저고도비행을 위해 이미 발표된 예보에 포함되지 않은, 특정 항로상 날씨현상의 발생 또는 예상되는 발생에 대해 기상감시소가 발표하는 정보. |
AMOS(Aerodrome Meteorological Observation System) | 활주로 부근의 기상실황(풍향, 풍속, 강수량, 기온, 습도, 기압, 활주로가시거리, 운고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항공기상 관측장비 |
BECMG (Becoming) |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비율로 특정 값에 도달하거나 경과되는 예상 변화를 서술하기 위하여 사용 |
BKN (Broken) | 전체하늘에서 구름이 5/8~7/8(5~7 Oktas) 차지 할때, 구름 많음 |
CAVOK (Ceiling And Visibility OK) | 항공기 운항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상현상이 일정기준 이상인 경우에는 그 현상의 명칭 또는 관측값을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대신 ""CAVOK""라는 용어를 사용 다음과 같은 상태가 동시에 관측되었을 경우 모든 보고에는 시정, 활주로가시거리, 현재일기, 구름정보 대신 ""CAVOK"" 라는 용어를 사용함. - 시정 10 ㎞ 이상 - 운항 상 중요한 구름이 없을 때 (운항 상 중요한 구름 : 운저고도가 1,500m(5,000ft) 미만 또는 최저구역 고도 중 높은 쪽 아래의 구름, 운저고도에 관계없이 적란운 또는 탑상적운) - 강수, 대기물?먼지현상, 뇌전 등의 중요일기가 없을 때 |
Data link-VOLME | 현재 METAR와 SPECI, TAF, SIGMET으로 제공되지 않은 특별항공기보고 그리고, 가능하다면 AIRMET 등을 데이터 링크를 통해 제공 |
EMBD (Embedded) | 뇌전(필요할 경우 뇌전을 동반하지 않는 CB 포함)이 구름층 내에 끼어 있거나 쉽게 인식할 수 없을 때 사용 |
FBL | 약한(Light), 국지정시 및 특별보고 관측시 사용되는 일기현상 강도 표현 |
FEW (Few) | 전체하늘에서 구름이 1/8~2/8(1~2 Oktas) 차지 할때, 구름조금 |
FM (From) | 일련의 우세한 기상현상이 뚜렷하게 변하여 다른 기상현상으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될 때 사용한다. FM 이후에는 모든 예보요소를 표현해야 하며 FM 시간군(일자, 시간, 분) 이전에 주어진 모든 현상은 FM 시간군 이후에 표현된 현상으로 대체 |
FRQ (Frequent) | 현상에 의해 영향을 받거나 받을 것으로 예상하는 구역에 대하여 최대 75% 이상의 공간을 차지할 때 사용하며, 인접한 뇌전 사이의 간격이 거의 없는 뇌전구역(고정시간 또는 유효기간)을 표현 |
GAMET 공역 예보 (GAMET area forecast) | 비행정보구역 또는 그 하위공역에서의 저고도비행을 위해 약어를 사용하고 평이한 언어로 된 공역예보는 관련 기상당국에 의해 지정된 기상관서로부터 준비되고 관련 기상당국 간 합의를 통해 인접한 비행정보구역 내 기상관서와 교환됨 |
GUST | 1. 평균 풍속에 비해서 풍속이 일시적으로 갑자기 커지는 바람으로 일정 시간내(보통 10분간)에 있어서 변동하는 풍속(순간풍속)의 평균값으로부터의 편차(보통 2분 이내의 변화)를 돌풍(gust)이라 함. 즉, 평균 풍속보다 10 knot이상의 차이가 있으며, 순간 최대 풍속이 17knot이상의 강풍일 경우 지속시간이 초단위일 때를 의미하며, 기상전문에서 G로 표현됨. |
HVY (Heavy) | 강한(Heavy), 국지정시 및 특별보고 관측시 사용되는 일기현상 강도 표현이며, METAR/SPECI, TAF에는 +로 표현됨 |
ICAO 기상정보교환모델 (ICAO meteorological information exchange model, IWXXM) | 항공 기상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자료 모델 |
INTSF (Intensify) | 강해지는, 강화되어지는, 기상현상의 예상되는 강도 변화를 표시하는 용어 |
ISOL (Isloated) | 최대 공간범위가 관련 구역(뇌전, 적락운 구역)의 50%미만인 지역에 영향이 있거나 또는 영향을 줄 것으로 예보되는 개발 특성으로 이루어 질 때 |
MOD (Moderate) | 중간강도의 (기상현상, 혼신 또는 공전 보고의 강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 예, MODRA = 중간 강도의 비) |
MOR(Meteorological Optical Range) | 온도 2700°K인 백열등의 평행 beam이 대기에 의해 산란 흡수되어 그 광속(光束)이 5%로 감소될 때까지의 거리를 의미하며 이 값은 시정을 물리적으로 표현한 것. |
NC (No change) | 변화 없는, 기상현상의 예상되는 강도 변화를 표시하는 용어 |
NSC (Nil significant cloud) | 운항 상 주요한 구름이 없고 수직시정에 제한이 없을 때 구름대신 사용함 |
NSW (Nil significant weather) | 중요기상현상 없음 |
OBSC (Obscured) | 뇌전(필요할 경우 뇌전을 동반하지 않는 CB 포함)이 연무 또는 연기에 의해 모호하거나 어둠으로 쉽게 볼 수 없을 때 사용 |
OCNL (Ocaasional) | 최대 공간범위가 관련 구역(뇌전, 적락운 구역)의 50%와 75% 사이인 지역에 영향이 있거나 또는 영향을 줄 것으로 예보되는 개발 특성으로 이루어 질 때 |
OVC (Overcast) | 전체하늘에 구름이 가득 찼을 때, 흐림 |
PROB(Probability) | 예보요소의 발생확률은 필요에 따라 약어 “PROB""를 사용하며, “PROB"" 다음에 적용되는 예보기간과 10단위의 퍼센트 확률로 표현 |
QFE(현지기압, Field elevation pressure) | 비행장표고(또는 활주로 시단)로 환산한 대기압 공항공식표고(official elevation of the aerodrome)에서의 기압값, QFE를 기준으로 하여 기압고도계를 세팅한 항공기가 공항 공식 표고점(예:인천공항 6.9m)에 있을 경우 고도계 값은 “0”으로 표시됨. |
QFF(해면기압, Mean sea-level pressure) | QFF는 공항 기압계 설치지점으로부터 평균해수면(mean sea-level)까지를 등온대기로 가정하여 해면갱정한 기압 값으로 현재온도를 적용함. QFF와 QNH의 차이는 대기의 상태가 국제표준대기와 명확히 다를 때(예를 들면, 기온이 높고 고도가 높은 공항) 확연히 구별됨. |
QNE(고도계 수정치, 전이고도(14,000ft) 이상에서 사용) | QNE는 기압고도계의 고도계 시도 0점을 표준대기 1013.2hPa로 맞추는 고도계 수정치이며 QNE로 공항의 착륙지점까지의 고도를 알 수 있음. 대양 상공을 비행하거나 특정고도 이상의 고공을 비행할 때에는 동일한 QNE를 사용하여 항공기 충돌을 방지함. |
QNH(고도계 수정치, Atmospheric pressure at nautical height) | 지상의 표고를 얻기위한 고도수정치 현지기압(QFE)에 ICAO 표준대기 값을 적용하여 해면갱정한 값. QNH로 기압고도계를 세팅한 항공기가 공항공식 표고에 있을 경우 고도계 값은 공항의 공식표고 값(예: 인천 6.9m)을 나타냄. |
RVR MID (Runway visual range Mid-point) | 중간 RVR 지점 |
SCT (Scatterd) | 전체하늘에서 구름이 3/8~4/8(3~4 Oktas) 차지 할때, 구름조금 |
SIGMET 정보 (SIGMET information) | 항공기 운항의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특정 항로상 날씨와 다른 기상현상의 발생 또는 예상되는 발생에 관해 기상감시소(MWO)에 의해 발표되는 정보 |
SQL (Squall line) | 각각의 구름사이에 간격이 거의 없는 선 상태의 뇌전을 표현 |
TCU (Towering cumulus) | 탑상적운 |
TEMPO (Temporary or temporarily) | 일시적인, 특정 값에 도달하거나 경과하는 기상상태의 예상되는 일시적 변동을 서술하는데 사용 이때 각각의 일시적 변동은 지속시간이 1시간 미만임 |
TM (Minimum temperature) | 최저온도 |
TX (Maximum temperature) | 최고온도 |
UP (Unknown precipitation) | 자동관측시스템으로 관측하여 강수형태를 확인될 수 없을 경우에 사용 |
VOLMET | 비행 중인 항공기를 위한 기상정보. |
VOLMET 방송 | 현재 METAR, SPECI, TAF, SIGMET 등을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음성방송으로 적절히 제공 |
WKN (Weaken) | 약해지는, 기상현상의 예상되는 강도 변화를 표시하는 용어 |
고도 (Altitude) | 평균 해면으로부터 측정된 층, 점 또는 고려된 대상고도의 수직 거리 |
고도 (Level) | 비행 중인 항공기의 연직 위치와 관련된 그리고 높이(height), 고도(altitude) 및 비행고도(flight level) 등 여럿을 의미하는 포괄적인 용어 |
공항 (Aerodrome) | 항공기의 도착, 출발, 지상 이동을 위해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사용되는 육상 또는 해상의 일정 지역(건물, 설비, 장비 포함) 참고.- 국내 법령 및 규정에서 사용되는 ‘공항‘은 항공법 제2조제7호에 따른 공항(Airport)을 일컫는 것으로 항공법 제2조제6호에 따른 ’비행장(Aerodrome)과 구별하여 사용함. |
공항 기후 개요 (Aerodrome climatological summary) | 통계자료에 근거하여 공항에 대해 명시된 기상요소의 간결한 개요 |
공항 기후표 (Aerodrome climatological table) | 공항에서 관측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상 요소의 발생에 대한 통계 자료를 제공하는 표 |
공항 표고 (Aerodrome elevation) | 착륙 지역의 가장 높은 지점의 표고 |
공항 표점 (Aerodrome reference point, ARP) | 공항의 지정된 지리적 위치 |
공항경보(Aerodrome Warning) | 공항경보는 계류 중인 항공기를 포함한 지상의 항공기를 중요기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해당 공항의 기상현상이 특보발표 기준치에 해당되거나, 해당될 것으로 예상되면 발표함. |
공항기상관서 (Aerodrome meteorological office) | 국제항공항행을 지원하는 공항에 기상업무를 제공하도록 지정된 관서 |
공항기상레이더(TDWR ; Terminal Doppler Weather Radar) | 공항기상레이더(TDWR)는 공항 주변의 구름 분포와 강수강도 뿐만 아니라 LLWAS와 통합하여 윈드시어나 마이크로버스트 같은 난류를 감지하는 공항용 기상레이더 시스템 |
공항예보((Terminal Aerodrome forecasts,TAF) | 공항예보는 일정기간(보통 6시간에서 30시간)동안 공항에서 예상되는 우세한 기상현상에 대하여 국제적으로 합의된 부호를 사용하여 서술하는 것 참고.- 공항에 대한 예보 및 경보 구역은 해당 공항의 공항표점(ARP)을 기준으로 반경 8km 이내 지역을 말함.(ICAO Doc 8896 3.4) 공항예보의 유효시간은 각각의 발표시각 1시간 이후부터 30시간 이내로 하며, 새로 발표되는 공항예보는 이전에 발표된 공항예보를 대체함. |
관제지역 (Control area) | 지상의 일정한 고도한계 상부의 관제공역 |
관제탑 (Aerodrome control tower) | 공항에 항공교통관제업무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 기관 |
관측(기상) (Observation(meteorological)) |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상요소의 수치를 구함 |
교체 공항 (Alternate aerodrome) | 착륙하고자 했던 공항으로 진행 또는 착륙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권유할 수 없을 때 항공기가 향할 수 있는 공항으로, 필요한 업무들과 시설들이 사용가능하며, 항공기 성능 요건에 만족하고, 사용 예상시간에 운영이 가능한 공항이다. 교체공항은 다음사항을 포함한다. 이륙 교체 (Take-off alternate). 항공기가 이륙 직후 착륙할 필요가 발생했으나 출발공항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에 착륙할 수 있는 교체공항. 항로상 교체 (En-route alternate). 항공기가 항공로 상에서 회항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착륙할 수 있는 교체공항. 목적지 교체 (Destination alternate). 착륙하고자 하는 공항에 착륙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권유 될 수 없을 경우 항공기가 착륙할 수 있는 교체공항. |
구조조정본부 (Rescue coordination centre) | 수색구조 조직의 효율적인 운영을 책임지고 수색구조 지역 내에서 수색구조 작업 수행을 조정하는 책임이 있는 기관 |
국가화산관측소 (State volcano observatory) | 국가 내 활동 중이거나 활동 가능성 있는 화산을 감시하고, 이와 관련된 지역관제센터(ACC)/비행정보센터(FIC), 기상감시소(MWO)와 화산재주의보센터(VAAC)에 화산활동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지역항행협정에 의해 지정된 화산관측소 |
국제항공로화산감시 (International airways volcano watch, IAVW) | 대기 중의 화산재를 감시하고 항공기에 경보를 제공하기 위한 국제적 협정. 부속서 3 Note.- IAVW는 국가들에 의해 제공된 관측 자료와 네트워크로부터 나온 정보를 이용하는 항공관련 운영기관과 비관련 운영기관과의 협력에 근거를 둠. 감시는 기타 관련 국제기구들과의 협력과 함께 ICAO에 의해 조정됨 |
기상 감시소 (Meteorological watch office, MWO) | 특정한 책임구역 안에서 항공기 운항 상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날씨와 다른 기상현상이 특정 항로에 발생하거나 발생할 것으로 예상될 때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지정된 관서 |
기상 관서 (Meteorological office) | 국제항공항행을 위한 기상 업무를 제공하도록 지정된 관서 |
기상 당국 (Meteorological authority) | 체약국을 대표하여 국제 항공 항행을 위해 기상업무를 제공하거나 또는 조정하는 당국 |
기상 보고 (Meteorological report) | 특정 시간과 장소와 관련되어 관측된 기상상태의 서술 |
기상 위성 (Meteorological satellite) | 기상을 관측하고 이 관측 자료를 지구로 전송하는 인공위성 |
기상 정보 (Meteorological information) | 현재 기상 상태와 예상되는 기상 상태와 관련한 기상의 보고, 분석, 예보, 기타 서술 |
기상 회보 (Meteorological bulletin) | 적절한 제목(headings)으로 시작되는 기상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본문 |
기장 (Pilot-in-command) | 지휘 위치에 있으면서 비행 중, 항공기의 운항 및 안전에 대한 책임 있는 조종사, 또는 일반 항공(general aviation)의 경우에는 소유자 |
난류(Turbulence) | 유체의 운동에서 매우 불규칙하며 무작위 변동을 보이는 운동. 운동의 각각의 성분이 예측할 수 없을 정도이나 통계적인 특성은 지니고 있음. 보통 유체역학에서 레이놀즈 수가 어떤 임곗값을 넘으면 유체가 시공간적으로 매우 불규칙한 변동을 나타내어 이를 난류라고 하며, 3차원적인 입체 구조, 비선형, 와도, 확산 등의 특징을 갖음. 난류층에서는 유체요소가 활발하게 혼합되며 운동량, 열, 수분 등의 확산과 수송이 층류에서 보다 탁월함. |
낮게 날림(Low drifting) DR | 지상위로부터 2 m (6 ft)미만으로 바람에 의해 올라간 먼지(DU), 모래(SA), 눈(SN)과함께 사용. |
높게 날림(Blowing) BL | 지상위로부터 2 m (6 ft)이상의 높이로 바람에 의해서 올라간 먼지(DU), 모래(SA),눈(SN) 보고에 사용, 눈의 경우에는 구름으로부터 내리는 눈과 지상으로부터 바람에 의해서 올라간 눈과 혼합된 경우에 사용. |
높이 (Height) | 특정한 기준면으로부터 측정된 면, 점 또는 점으로 고려된 물체의 연직 거리 |
뇌전(Thunderstorm) TS | 번개와 천둥을 동반하는 급격한 방전현상으로 뇌전은 발달한 적란운에서 구름과 구름사이 또는 구름과 지면 사이의 방전으로 나타나며 소낙성 비를 동반하는 수가 많음. 비를 동반하는 뇌전은 ""TSRA"", 눈을 동반할 때는 ""TSSN"", 얼음싸라기를 동반하는 경우는 ""TSPL"", 우박을 동반하는 뇌전은 ""TSGR"", 작은 우박과/또는 눈싸라기를 동반하는 뇌전은 ""TSGS"" 와 같이 보고. 이들 현상이 복합되어 나타날 때는""TSRASN""과 같이 보고. 관측시간 전 10분 동안에 공항에서 천둥소리를 듣거나 번개가 탐지되었지만 강수가 관측되지 않았을 때는 수식이 없는 약어 ""TS""를 사용함. |
눈(Snow) SN | 얼음결정으로 된 강수. 결정형태는 침상(針), 각주상(角柱), 판상(板: 樹板狀을 포함) 등이 있고, 이러한 결정들이 규칙적으로 결합한 것도 있으며, 불규칙하게 결합한 덩어리를 이룬 것도 있음. 눈은 대기 중에서 수증기가 승화된 것이 모체가 되며 여기에 과냉각된 물방울이 부착하여 빙결된 것과 다소 물기를 포함하고 있는 것도 있음. 이와 같은 것들이 불규칙하게 흩어져 내리기도 하며 어떤 때는 여러 개가 결합되어 눈송이를 이루어 내릴 때도 있다. 구름 속에서 떨어지는 단일 또는 덩어리로 된 빙정이 고체형태로 떨어지는 것을 말함. 매우 낮은 온도에서 눈송이는 작으며 그 구조는 단순하다. 빙결점 온도 부분에서는 개개의 눈송이가 많은 수의 빙정(별모양이 우세한)으로 구성되며 이런 눈송이의 직경은 25㎜ 이상 됨. |
디지털 형태의 격자점 자료 (Grid point data in digital form) | 자동화된 사용에 적합한 코드 형태로 기상용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하여 차트의 일정 간격을 이룬 점들에 대한 컴퓨터로 처리된 기상자료 |
마이크로버스트(microburst) | 적란운의 운저에서 시작한 바람이 지표에 부딪혀 일어나는 돌풍으로 극히 국지적이며 이동이 심함. 수평 최대 풍속이 12~14㎧로 이상기상의 하나이며, 항공사고를 일으킴. |
먼지(넓게 퍼진)〔Dust(widespread)〕 DU | 지면에서 솟아오르는 조그만 먼지 입자의 부유로 인하여 수평 시정이 5000m 미만으로 감소함. |
먼지/모래 회오리〔Dust/sand whirls(dust devils)〕 PO | 지면에서 솟아오른 먼지나 기타 가벼운 물질이 건조하고 먼지가 많거나 모래가 많은 지면 위에서 급격하게 회전하는 직경 수m 의 공기기둥. 보통 수직으로 200~300ft이하로 솟구치지만 매우 뜨거운 사막 지역에서는 2000ft까지 솟구치는 경우도 있음. |
먼지폭풍(Duststorm) DS | 강하고 급격한 바람에 의하여 왕성하게 상승된 먼지 입자의 총체로 보통 뜨겁고 건조하며 바람이 부는 조건, 특히 구름이 없는 왕성한 한랭전선의 전면에서 발생함. 먼지 입자의 직경은 전형적으로 0.08㎜미만이며 결과적으로 모래보다 훨씬 더 높이 상승할 수 있음. |
모래(Sand) SA | 지면에서 솟아오르는 조그만 모래 입자의 부유로 인하여 수평 시정이 5000m 이하로 감소함. |
모래폭풍(Sandstorm) SS | 강하고 급격한 바람에 의하여 왕성하게 상승된 모래 입자의 총체로 모래 폭풍의 전면부분은 넓고 높은 벽과 같은 모양을 가짐. 상승하는 모래의 높이는 풍속과 불안정도에 따라 증가함. |
박무(Mist) BR | 지극히 미세한 물방울이나 젖은 흡습성 입자가 공기 중에 부유하는 것으로 수평 시정이 1000~5000m로 감소되며 상대 습도가 80% 이상이됨. 박무가 낀 때의 대기는 안개처럼 습하고 차갑게 느껴지지는 않음. - 시정이 1000 m 이상 5000 m 이하일 때 보고 |
배풍(Tailwind) | 항공기 뒤에서 불어오는 바람 |
보고 지점 (Reporting point) | 항공기의 위치가 보고될 수 있는 것과 관련된 특정한 지리적 위치 |
부분적(Partial) PR | 공항의 상당한 부분에 안개가 덮여있는 반면 나머지 부분은 안개가 없음을 나타낼 때 사용. 수식어 "PR"은 안개(FG)에만 사용. |
브리핑(Briefing) | 현재 날씨 또는 예상되는 날씨 현상에 관한 구두 해설 |
비(Rain) RA | 직경 0.5㎜ 이상의 물방울로 된 강수. 빗방울 크기는 보통 안개비 입자보다 큼. 그러나 강우역의 연변에서는 빗방울이 떨어지는 도중에 증발하기 때문에 안개비의 입자와 같은 정도의 작은 입자로 되는 수가 있고, 그런 경우에는 빗방울의 입자가 분산해서 내리게 되므로 안개비와 구별됨. |
비행고도 (Flight level, FL) | 특정 기압 값 1013.2 hPa와 관련된 그리고 특정 기압 간격에 의해 다른 표면들로부터 분리된 일정 기압면 부속서 3 Note1.- 표준 대기에 따라 조정된 기압고도계는 : a) QNH 고도계 설정으로 맞추었을 때, 고도를 가리킴 b) QFE 고도계 설정으로 맞추었을 때, QFE 기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가리킴 c) 1013.2 hPa 기압에 맞추었을 때, 비행 고도를 가리키는데 사용됨 부속서 3 Note2.- Note1.에서 사용되는 ""높이(height)""와 ""고도(altitude)""는 기하학적인 ‘높이’와 ‘고도’가 아닌 “고도계에 의한 값“을 가리킴 |
비행예보철 (Flight documentation) | 비행을 위한 기상정보가 들어 있는 도면 또는 양식이 포함된 손으로 쓰여지거나 인쇄된 문서 |
비행정보구역 (Flight information region, FIR) | 비행정보업무와 경고업무가 제공되는 한정된 범위의 공역 |
비행정보센터 (Flight information centre, FIC) | 비행정보업무와 경고업무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된 기관 |
산악파 (mountain wave ) | 산의 영향으로 대기의 흐름 속에 발생하는 정체파를 말함. 강한 바람이 산맥을 불어 넘을 때 산맥의 풍하측에서는 강한 하강기류가 발생하고, 강한 난기류가 형성하여 항공기 안전 운항을 위협하는 큰 요인이 됨 |
산악파(Mountain waves) | |
산재한(Patches) BC | 수식어 "BC"는 공항에 안개가 산재하고 있음을 표시할 때 사용. METAR/SPECI에서 수평 시정을 1000 m 이상으로 보고해도 관측자는 1000 m 미만의 시정 구역을 볼 수 있음 |
상층일기도 (Upper-air chart) | 대기의 특정 상층면 또는 층에 관한 기상도 |
성능기반항행 (Performance-based navigation, PBN) | 계기 접근절차 또는 지정된 공역에서 ATS 항로를 따라 항공기 운항에 필요한 성능요건을 기반으로 한 지역항법 |
세계공역예보센터 (World area forecast centre, WAFC) | 인터넷기반서비스의 항공고정업무를 이용하여 전 지구 기반의 디지털 형태의 중요기상예보와 상층예보를 국가들에게 직접 제공하기 위해 준비하고 발표하도록 지정된 기상센터 |
세계공역예보시스템 (World area forecast system, WAFS) | 세계공역예보센터(WAFC)가 통일된 표준형식으로 항공기상 항공로 예보를 제공하는 세계적 시스템 |
소낙성(Shower) SH | 보통 대류운에서 오는 단시간의 강한 강수를 말하며 갑작스런 시작과 종료 그리고 강수 강도가 급격히 변화하는 특징을 가지며, 소낙성의 비는 "SHRA", 눈은 "SHSN",얼음싸라기는 "SHPL", 우박은 "SHGR". 작은 우박과/또는 눈싸라기는 "SHGS" 또는 이들 현상이 복합되어 나타날 때는 "SHRASN"과 같이 보고함. 공항 부근에서 관측된 소나기는 강수의 형태나 강도에 대한 수식 없이 "VCSH"와 같이 보고. |
수색구조업무기관 (Search and rescue service unit) | 경우에 따라 구조조정본부, 지역구조조정본부(rescue subcentre), 경보소(alerting post)를 의미할 수 있는 포괄적인 용어 |
순항고도 (Cruising level) | 비행의 대부분 동안 유지되는 고도 |
스콜(Squalls) SQ | 갑자기 솟아오르는 강한 바람으로 보통 적어도 1분 동안 지속되며 좀 더 긴 지속 시간을 갖는 돌풍(Gust)과 구별됨. 풍속이 16㏏ (8m/s)이상 급격히 증가하여 22kt (11m/s) 이상 되는 풍속이 적어도 1분 이상 지속됨. 스콜은 수평적으로 수㎞, 수직적으로 수천ft 까지 확장되는 규모가 큰 적란운과 격렬한 대류활동과 종종 연관됨. |
시정 (Visibility) | 항공분야에서 사용하는 시정은 다음보다 큰 값을 나타냄 a) 지면 근처에 놓인 적당한 크기의 검은 물체를 밝은 배경에서 관측했을 때 볼 수 있고 인식할 수 있는 최대 거리; b) 불빛이 없는 배경에서 1,000 칸델라의 불빛을 볼 수 있고 식별할 수 있는 최대 거리. 부속서 3 Note.- 두 거리는 정해진 소광계수의 대기에서 다른 값을 가짐 후자 b)는 배경 조도에 따라 변하고, 전자 a)는 기상광학거리(meteorological optical range; MOR)로 나타냄 참고.- 소광계수 : 빛이 대기를 통과할 때 얼마나 어두워지는지 나타낸 계수 |
쌀알눈(Snow grains) SG | 이슬비가 언 것으로 매우 작은 불투명한 흰색 얼음입자. 이러한 입자는 매우 납작하거나 또는 길쭉하며 직경은 대체로 1 ㎜ 미만. 굳은 지면에 떨어져도 튀지 않으며 부서지지도 않음. 소낙성 강수 형태로 내리지 않으며 과냉각된 층운(stratus)이나 안개에서 내림. |
안개(Fog) FG | 매우 작은 물방울 또는 얼음 입자가 공기 중에 부유하는 것으로 수평 시정이 1000m 미만으로 감소함. 안개 속에서의 대기는 습하고 차갑게 느껴지며 상대습도는 100%에 가까움. 대체적으로 백색이지만 공업지대에서는 연기와 먼지로 인하여 회색이나 황색을 띰. - ""MI"",""BC"",""PR"" 또는 ""VC""로 수식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시정이 1000m 미만일 때 보고 |
얇은(Shallow) MI | 수식어 ""MI""는 수평 시정이 1000 m 이상이지만, 지면으로부터 2 m (관측자의 눈높이)까지 1000 m 미만인 시정 층이 있는 안개(FG)를 나타낼 때만 사용. 운항상""MIFG""는 활주로 표시와 활주로 등이 보이지 않는 문제점을 야기함. |
어는(Freezing) FZ | 안개(FG), 이슬비(DZ) 그리고 비(RA)에만 사용되며, 수식어 "FZ"는 물방울 온도가 0℃ 미만(과냉각) 일 때의 안개(FG), 이슬비(DZ) 또는 비(RA)만을 수식하는데 사용함. 과냉각된 물방울은 지면이나 항공기에 충돌해서 물과 얼음의 혼합물을 형성함. 어는 안개는 보통 상고대(Rime), 또는 드물게는 맑은 얼음으로 쌓임. |
얼음싸라기(Ice pellets) PL | 쉽게 부서지지 않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얼음 입자로 직경이 5㎜ 이하이며 빙결된 빗방울이나 커다란 녹은 눈송이로부터 형성됨. 입자는 지면에 부딪치면 소리를 내고 튀어 오름. 고층운 혹은 난층운에서 내리며 빙결과정은 지면 부근에서 일어나므로 심한 착빙위험을 가져옴. |
연기(Funnel cloud(s)(tornado or waterspout))FU |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조그만 입자가 공기 중에 부유하는 것으로 수평 시정이 5000m이하로 감소됨. 만약 부유하는 물방울이 없고 상대 습도가 약 90%이하이면 수평시정 1000m 미만에서 연기가 사용되어야 함. |
연무(Haze) HZ | 눈에 보이지 않는 지극히 미세하고 건조한 입자가 공기 중에 부유하는 것으로 수평시정을 5000m 이하로 감소시키는 유백광의 입자가 공기 중에 무수히 많음. |
열대저기압 (Tropical cyclone) | 조직화된 대류와 뚜렷한 저기압성 지상바람 순환이 있는 열대 또는 아열대 바다에서 발생하는 비전선성 종관규모 저기압에 대한 포괄적인 용어 |
열대저기압주의보센터 (Tropical cyclone advisory centre, TCAC) | 열대저기압의 위치, 예상 이동 방향과 속도, 중심기압 그리고 최대 지상풍에 관한 주의보 정보를 기상감시소(MWO), 세계공역예보센터(WAFC), 국제 OPMET 데이터뱅크에 제공하도록 지역항공항행협정에 의해 지정된 기상센터 |
예보(Forecast) | 명시된 시간 또는 기간에 대해, 그리고 공역의 특정한 지역 또는 부분에 대해 예상되는 기상상태에 대한 기술 |
예상도 (Prognostic chart) | 특정 시각 또는 기간 그리고 특정 지표면 또는 공역의 일부를 위한 특정 기상요소에 대한 예보를 도식화한 차트 |
우박(Hail) GR | 구름 내의 작은 구름물방울이 구름빙정입자에 충돌·결착되어 생기는 것. 큰 우박을 쪼개 보면 흰 층과 투명한 층이 교대로 짜여 있고, 속과 겉이 바뀐 듯한 구조를 하고 있는 경우가 많음. 주로 공이나 불규칙한 큰 얼음덩이 모양을 하고 있음. 강한 상승류, 큰 수함량, 큰 물방울을 가지고 높이 발달하는 적란운으로부터 잘 형성됨. 주로 지름이 5mm 이상인 얼음덩이를 우박으로 분류하며 5mm 작은 덩이는 싸락눈으로 분류됨.우박은 동물, 식물, 빌딩, 비행기 그리고 농작물에 큰 피해를 끼치기 때문에 인공적으로 우박을 줄이려는 연구가 활발함. |
우세시정 (Prevailing visibility) | 적어도 수평 원 또는 공항 지면의 절반에 도달하여 ‘시정’의 정의에 따라 관측된 최대 시정 값 |
우주기상센터 (Space weather centre, SWXC) | 통신, GNSS-기반 항행 및 감시시스템에 영향을 주거나 운항승무원, 승객에게 방사선 위험을 야기할 것으로 예상되는 우주기상을 감시하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지정된 센터 |
운영자 (Operator) | 항공기 운영에 종사하고 있는 또는 종사하려고 신청한 개인, 조직 또는 회사 |
운항 상 중요한 구름 (Cloud of operational significance) | 운저고도가 1,500 m (5,000 ft)미만 또는 가장 높은 최저구역 고도 중 더 높은 고도보다 낮은 고도의 구름 또는 운저고도에 관계없이 적란운 또는 탑상적운 |
운항계획 (Operational planning) | 운항자에 의한 항공기 운항 계획 |
운항비행계획 (Operational flight plan) | 항공기 성능, 다른 운영제한 그리고 관련된 따라가야 할 항로, 관련 공항에서 예상되는 조건에 근거하여 비행의 안전적 시행을 위한 운영자의 계획 |
운항승무원 (Flight crew member) | 비행 임무 기간 동안 항공기의 운항에 필수적인 임무를 담당하는 허가된 승무원 |
운항통제 (Operational control) | 항공기의 안전과 비행의 정규성 및 효율성을 위해서 당국이 실시하는 비행의 시작, 지속, 우회, 종료에 관한 업무실행 |
윈드시어 경보(Wind Sherar Warning) | 활주로 표면으로부터 고도 1600ft(500m) 사이의 접근/이륙로 또는 선회 접근중인 항공기 그리고 착륙 또는 이륙을 위해 주행중인 항공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윈드시어의가 관측되거나 예상 되는 경우에 대한 정보를 간결하게 수록하여 제공 |
이륙예보(Forecasts for take-off) | 매 정시로부터 3시간 이내에 예상되는 활주로 상에서의 지상풍과 기온, 기압(QNH) 및 국지적으로 합의된 기타 요소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현 |
이슬비(Drizzle) DZ | 매우 많은 수의 작은 물방울이 거의 일정하게 내리는 강수. 안개를 구성하직경 0.5㎜ 미만의 아주 작은 물방울들이 내리는 강수로서 얼핏 보면 공중에 떠 있는 것 같이 보이며, 대기가 약간만 움직이더라도 따라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음. 보통 연속된 두꺼운 층운(st)에서 내리고, 운고는 대단히 낮으며, 지면까지 도달하여 안개로 되는 수가 많다. 특히 해안이나 산악지대에서는 이슬비로 내리는 수가 많음. 이슬비로 인한 강수량은 1시간에 1㎜ 이상이 되는 일은 드물며, 시정은 비가 내릴 때보다 더욱 나쁜 것이 특징. |
이슬점(DEWPOINT), 이슬점온도, 노점온도(dew point temperature) | 주어진 공기덩이가 일정한 압력과 일정한 수증기 함량에서 냉각될 때 포화가 발생하는 온도. 이슬점은 또한 공기덩이의 포화증기압이 현재의 실제 증기압과 같아지는 온도로 정의할 수 있음. 수증기가 가해지거나 제거되지 않는 한, 공기덩이의 등압가열 혹은 등압냉각은 이 공기덩이의 이슬점 값을 변화시키지 못해 이와 같은 등압과정에서 보존되는 양임. 그러나 이슬점은 대기 중 공기의 연직단열운동에서는 보존되지 않고, 상승하는 습윤공기의 이슬점은 건조단열감률의 약 1/5의 율로 감소함. 즉, 건조단열감률은 약 10℃/km이므로 이슬점 감률은 약 2℃/km임. 이슬점은 여러 종류의 이슬점습도계로 직접 측정할 수도 있고, 수증기 밀도나 혼합비를 측정하는 장치 또는 습도계로부터 간접적으로 얻을 수도 있음. |
인적요인원칙 (Human Factor principles) | 항공설계, 자격, 훈련, 운영 및 유지관리에 적용되고, 인적수행능력에 대한 적절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른 시스템 요소와의 안전한 상호교환을 이룰 수 있는 원칙 |
인접(In the vicinity) VC | 공항기준위치로부터 약 8~16km 사이를 뜻하며 METAR 및 SPECI 보고에서만 사용. |
자동종속감시시설―계약(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 ADS-C) | ADS-C 보고가 시작되는 조건과 보고에 포함되는 자료를 상세히 설명하는 것으로 데이터 링크를 통해 지상시스템과 항공기 간에 교환되는 ADS-C 계약을 나타내는 용어를 의미함 |
자문 (Consultation) | 비행에 관련되는 현재 기상 상태 또는 예상되는 기상 상태에 관하여 기상 전문가 또는 다른 자격을 갖춘 사람과의 토의; 이 토의에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포함 |
작은 우박과/또는 눈싸라기(Smallhail and/or snow pellets)GS | 최대 우박의 직경이 5 ㎜미만일 때 사용 |
장거리운항 (Extended range operation) | 단일 엔진으로는 불가능한 순항속도(ISA와 고요한 공기 상태에서)로, 항로상의 한 지점에서 적절한 교체까지 비행한 시간이 운항자의 국가에 의해 승인한 임계시간보다 큰 경우의 두개의 터보엔진 비행기에 의한 비행 |
저층바람시어경고장비(LLWAS ; Low Level Windshear Alert System) | 활주로와 활주로 인접지역의 저층에서 발생하는 윈드시어(Windshear) 및 마이크로버스트(Microburst)를 탐지하여, 항공기에 공항 주변지역과 이·착륙 지역에서 발생하는 돌풍현상을 사전에 경고해 주기 위한 시스템 |
적란운 (CB, Cumulonimbus) | 10종 기본 운형의 하나로, 원명은 적운(cumulus)과 비구름의 뜻인 님버스(nimbus)에서 파생된 용어. 모양은 적운과 유사하지만 수직으로 발달된 구름덩이가 산이나 탑모양을 이룬다. 수직으로 발달하며 대류권계면에 다다르면서 구름정상 부분이 수평으로 퍼지며 발달하는 모루구름를 형성하기도 함. 적란운의 구름바닥 부분은 아주 어두우며 강수를 동반하기도 함. 구름의 대부분은 물방울의 집합체이나 구름 꼭대기 부근은 빙정으로 되어 있음. 이들 빙정과 물방울이 더욱 발달해 눈, 싸락눈 그리고 우박을 형성하기도 함. 주로 심한 소낙성 강우와 번개를 동반해 뇌운이라고도 함. 적운과 같이 강한 일변화를 보이기도 함. 적란운은 극지역에서는 드물지만 열대지역에서는 자주 발생하여, 이 지역에서의 물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 적란운은 토네이도와 같은 강한 상승류를 동반하는 현상과 함께 권운과 같은 다른 종류의 구름을 생산해 내기도 함. 적란운은 보통 여름철에 잘 발달하지만 겨울철에도 전선을 따라서 생기는 경우가 있음. 구름밑면은 지표 부근으로부터 2km 정도의 높이까지이나 구름 꼭대기는 종종 10km 이상에 이르기도 함. |
적합한 항공교통업무당국 (Appropriate air traffic services (ATS) authority) | 당해 영공에서 항공교통업무를 제공할 책임이 있는 국가가 지정한 관련 당국 |
접근 관제소 (Approach control unit) |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항에 도착 또는 출발하는 ‘관제비행(controlled flight)’에 대하여 항공교통관제업무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 기관 참고.-관제비행(controlled flight) : 항공교통관제 허가에 의하여 비행하는 항공기 |
접지구역 (Touchdown zone) | 착륙하려는 항공기가 (활주로)시단을 지나 활주로에 처음 접촉하는 활주로 부분 |
정시관측보고(METAR) | 고정간격으로 실시하는 관측보고로 공항 내외로 전파됨. 지상풍, 시정, 활주로가시거리, 현재일기 그리고/또는 구름, 기온, 이슬점온도, 기압, 보충정보 등을 포함함 |
정풍(Headwind) | 항공기 앞에서 불어오는 바람 |
제트류 (Jet stream) | 1. 대기에서 좁은 기류에 집중된 상대적으로 강한 바람. 이러한 용어는(연직을 포함하여) 방향에 상관없이 어떠한 기류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지만, 최근에는 중위도 서풍대에 끼여 있는 대류권 상층에 집중된 최대 풍속대인 준수평 제트류를 의미하는 경향이 강함. 제트류는 두 개로 종종 구분되며, 하나는 한 대전선 제트류로서 중위도와 상층 중위도의 한대전선과 관련되어 있음.. 굉장히 느슨하게 말해서 한 대전선 제트류는 반구 전체로 확장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지만 한대전선처럼 불연속적이며 일변화가 매우 큼. 다른 하나는 아열대 제트류로 위도 20°와 30° 사이의 일부 경도에서 발견되며, 특히 아시아 해변 끝에서 가장 강함. 상층일기도 분석에서 제트류는 풍속이 50노트와 같거나 더 큰 경우로 정의된다. 2. 대류권 상층의 편서풍 파동 내에서 최대 속도를 나타내는 부분. 세계 기상 기구(WMO)에서는 ‘제트류는 상부 대류권 또는 성층권에서 거의 수평축에 따라 집중적으로 부는 좁은 강한 기류이며, 연직 또는 양측 방향으로 강한 바람의 풍속차(shear)를 가지고,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풍속 극대가 있는 것' 이라고 정의 |
중간권 제트류 (Mesospheric jet) | 중간권에 존재하는 두 동서 제트류. 1월에는 북위 25∼45° 사이 약 70km 고도에 최대속도 60m s-1 정도의 서풍이 존재함. 남위 30∼50° 사이에는 비슷한 속도의 동풍이 존재한다. 7월에는 중간권 제트류의 방향이 반대로 바뀌며 남반구의 서풍은 하강하여 50km 고도에서 관측되며 최대속도는 100m s-1로 증가함. |
중규모 제트류 (Mesojet) | 중규모의 풍속 최대치가 나타나는 흐름. 중규모 제트류는 바람 방향으로 수십∼수백 킬로미터에 다다르며 바람과 수직 방향으로는 100km 이내의 크기에 이름. 중규모 제트류는 수천 킬로미터에 달하는 행성 규모 제트나 활동적인 공관 패턴(골이나 마루)과 연관된 1,000∼2,000km 정도의 종관규모 제트와는 다르며, 큰 규모의 중규모 제트류는 제트 스트리크(jet streak)라고도 불림. 중규모 제트류는 두드러진 지형적인 요인에 의하여 강제적인 공기의 흐름 때문에 생길 수 있고, 잘 정렬된 중규모 대류계와 연관되어 나타나기도 하며 활동적인 스콜 선 뒤에서 종종 관측되는 증발에 의한 후방 유입 제트가 전형적인 유형임. 또한 중규모 제트류는 대류권 하층의 잘 발달된 안정층 안에서 공기의 흐름이 행성경계층과 분리되면서 저녁에 나타나기도 함. 특별히 수백 킬로미터에 이르도록 잘 발달된 중규모 제트류는 하층 제트로 알려져 있음. |
중요기상 예보(Significant weather(SIGWX) forecasts) | 항로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상현상(태풍, 뇌전, 난류, 착빙, 화산재, 적란운 등)을 고고도(25,000ft~63,000ft), 중고도(10,000ft~25,000ft), 저고도(10,000ft 이하)로 각각 나뉘어 발표 |
지역 관제소 (Area control centre, ACC) | 관할 관제 지역에서 관제 항공기에게 항공교통관제업무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 기관. |
지역 항법 (Area navigation, RNAV) | 지상 또는 공중 기반의 항법 보조물 범위 안 또는 독립적인 보조물의 능력 범위 안 또는 이 둘의 조합된 범위 안에서 어떤 원하는 비행경로에 대해 항공기 운영을 허용하는 항법의 한 방법 부속서 3 Note.- 지역항법은 성능기반 항법의 정의에 충족하지 못하는 다른 운영뿐만 아니라 성능기반 항행도 포함함 |
지역항공항행협정 (Regional air navigation agreement) | 지역항공항행회의의 권고에 대하여 ICAO 이사회에 의해 통상적으로 승인된 협정 |
청천난류(CAT, Clear Air Turbulence) | 구름이 없는 지역의 6∼15km 정도의 상공에서 일어나는 난류현상. 제트류 중심부와 주위의 공기 사이에서 잘 일어나고, 특히 상층전선과 대류권계면 근처에서 잘 발생하며 비행기에 갑작스러운 영향을 줌. 청천난류는 탑모양 적운(보통 30km 이내)과 산악지대 근처에서도 잘 발생하고, 산악이나 다른 지형에 의해 요동치는 기류는 1,000km 또는 그 이상 길이의 난류성 파동을 발생시킬 수 있음 |
최저섹터고도 (MSA, Minimum sector altitude) | 항행무선시설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46km(25NM) 내 위치한 모든 물체들 상공으로 300m(1,000ft)의 최소 간격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가장 낮은 고도 긴급사태에 대비해서, 공항 부근의 무선항공보안 시설을 중심으로 반경 46㎞ (25해리)내에 위치한 모든 물체의 높이로부터 최소 1,000ft (300m)의 여유를 두고 설정한 비행안전최저고도이며 각 공항별 MSA는 다음과 같음 인천공항: 3900FT, 김포공항: 4000FT, 제주공항: 8500FT, 김해공항: 5200FT, 광주공항: 5000FT, 청주공항: 4600FT, 포항공항: 4800FT, 대구공항: 5800FT, 사천공항: 8400FT, 울산공항: 5200FT, 여수공항: 8400FT, 무안공항: 3800FT, 양양공항: 7700FT |
측풍(Crosswind) | 항공기의 진행방향에 직각(옆)으로 부는 바람으로, 강하게 불 경우 항공기 비행경로에서 벗어나게 하여 항공기의 안전 저해 |
특별관측보고(SPECI) | 정시관측 사이에 지상풍, 시정, 활주로가시거리, 현재일기 또는 구름에 관한 특정 기준값 이상의 변화가 있을 때 실시하는 관측보고 |
표고 (Elevation) | 평균 해면고도로부터 지표면 위 또는 지표면에 붙어있는 한 점 또는 고도까지 측정된 연직거리 |
표준등압면 (Standard isobaric surface) | 대기 안에서 상태를 표현하고 분석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등압면 |
품질 경영 (Quality management) | 품질(ISO 9000)에 관련된 조직을 관리 감독하는 조정 활동 |
품질 관리 (Quality Control) | 품질요건(ISO 9000)을 충족시키는데 초점을 둔 품질행정의 한 부분 |
품질 보증 (Quality assurance) | 품질요건(ISO 9000)이 충족될 수 있다는 신뢰를 제공하는데 초점을 둔 품질행정의 한 부분 |
하층 제트 (Low-level jet) | 대류권 하부 2∼3km 이하의 고도에서 주로 나타나는 제트류. 하층 제트 영역은 대류권 하부에서 수평바람의 연직분포에서 최댓값이 나타나는 지역을 의미함. 이 영역은 지표 부근의 상대적으로 풍속이 큰 영역, 제트류가 나타나는 고도 주변의 큰 바람 시어가 나타나는 영역, 최대 풍속이 12∼16m/s 이상인 지역 등의 조건으로 정의하기도 함. 이 영역에서는 수증기 수송이 크게 일어나게 되므로 중규모 대류계 발생과 발달에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상층 제트와 함께 나타나는 경우에 악기상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음. 야간에 발생하는 하층 제트를 야간 제트라 하는데, 관성진동이나 경사지형에서의 경압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항공고정업무 (Aeronautical fixed service, AFS) | 주로 항공항행의 안전성과 항공업무의 정기적, 효율적, 경제적 운영을 위해 제공되는 명시된 고정 지점간의 통신업무 |
항공고정통신망 (Aeronautical fixed telecommunication network, AFTN) | 항공고정업무의 일부분으로, 동일한 또는 호환되는 통신 특성을 가지고 있는 항공고정업무소간 메시지와(또는) 디지털 데이터의 교환을 위해 제공되는 항공고정회선의 세계 공용 시스템 |
항공교통업무기관 (Air traffic services unit) | 항공교통 관제기관, 비행정보센터 또는 항공교통업무보고소 등의 여러 의미를 갖는 포괄적인 용어 |
항공기 (Aircraft) | 지구 표면에 대한 공기의 반작용과 대기 중 공기의 반작용으로부터 지원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어떤 기계 |
항공기 관측 (Aircraft observation) | 비행 중인 항공기로부터 만들어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상요소의 수치를 구함. |
항공기 보고 (Air-report) | 위치, 운항과/또는 기상 보고의 기준에 따라 비행 중인 항공기로부터의 보고 |
항공기상관측소 (Aeronautical meteorological station | 국제항공항행에 사용을 위한 관측과 기상통보를 하도록 지정된 곳 |
항공이동업무 (Aeronautical mobile service (RR S1.32)) | 항공 기지국과 항공기 국 간 또는 항공기 국 상호간의 통신업무; 비상 위치 지시 무선 표지국 역시 지정된 조난 및 긴급 주파수에 관해 이 업무에 참여할 수 있다. |
항공통신국 (Aeronautical telecommunication station) | 항공업무를 수행하는 무선국 |
항행요건 (Navigation Specification) | 지정된 공역 안에서 성능기반항행(PBN) 운항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항공기 및 운항승무원의 요건들로, 다음 두 가지 종류가 있음 항행성능기준(RNP) 요건. 성능감시와 경고에 관한 필요사항을 포함한 지역항법 기반의 항행요건으로서 접두어 RNP로 지정됨.(예, RNP 4, RNP APCH) 지역항법(RNAV) 요건. 성능감시와 경고에 대한 필요사항을 포함하지 않은 지역항법 기반의 항행요건으로서 접두어 RNAV로 지정됨.(예, RNAV 5, RNP 1) 부속서 3 Note.- 성능기반항행(PBN) 매뉴얼(Doc 9613), Volume Ⅱ에는 항행요건에 관한 세부지침이 수록되어 있음 |
화산재(Volcanic ash) VA | 활화산에서 유래한 크기가 상당히 다양한 대기 중의 먼지나 입자. 조그만 입자는 종종 성층권까지 올라가서 장기간 떠다니고, 큰 입자는 대기권에 남아서 바람에 의해 지구 여러 지역에 도달할 수 있음. 비와 중력에 의하여 결국은 대기 중의 화산재가 제거되나, 집중된 큰 입자나 조그만 입자는 엔진을 포함하여 항공기에 상당한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
화산재주의보센터 (Volcanic ash advisory centre, VAAC) | 화산분출에 따른 대기 중 화산재의 수평·수직적 확산과 예상 이동에 관련된 주의보 정보를 기상감시소(MWO), 지역관제센터(ACC), 비행정보센터(FIC), 세계공역예보센터(WAFC), 국제 OPMET 데이터뱅크에 제공하도록 지역항공항행협정에 의해 지정된 기상센터 |
활주로 (Runway) | 육상 공항에 항공기의 착륙과 이륙을 위하여 준비된 한정된 직사각형 지역 |
활주로가시거리 (Runway visual range, RVR) | 활주로의 중심선 상에 있는 항공기의 조종사가 활주로 표면 표시 또는 활주로의 윤곽을 나타내거나 활주로 중심선을 확인할 수 있는 불빛을 볼 수 있는 거리 |
활주로시단 (Threshold) | 착륙을 위해 사용가능한 활주로의 시작 부분 |
황사 (ASIAN DUST) DU | 황사가 예상될 때, 관측자 시야의 전방위에 대한 시정이 혼탁해지고 하늘이 옅은 황갈색을 보이거나, 황사관측장비(PM10)의 관측값이 기준지점 별 기준 농도값 이상 시에 황사현상의 발생으로 함 |